본문 바로가기
질병의 이해

성인병 예방을 위한 저염 식단 실천법! 나트륨 섭취 줄이는 똑똑한 습관

by 유유자적 땅콩 2025. 4. 7.

 

 

🔍 왜 나트륨이 문제일까?

 

나트륨(Na)은 삼투압 조절을 통해 체내 수분 균형을 유지하며 세포 외액(혈액, 림프액 등)에서 가장 중요한 양이온으로 칼륨(K)과 함께 작용하여 신경 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인체에 꼭 필요한 전해질이지만 현대인의 식생활에서 과도한 나트륨 섭취가 고혈압, 심혈관 질환, 신장 질환, 위암 등 다양한 성인병의 원인을 만든다.
세계보건기구(WHO)는 하루 나트륨 권장 섭취량을 2,000mg 이하로 권장하지만, 한국인의 평균 섭취량은 3,500~4,000mg에 달한다. 

 

🍜 나트륨 폭탄! 우리가 흔히 먹는 식품들

  • 라면 1봉지 : 평균 1,700~2,000mg
  • 국, 찌개류 한 그릇 : 1,000~1,500mg
  • 김치 100g : 약 700mg
  • 가공 햄 2조각 : 500mg 이상

이처럼 일상 속 자주 먹는 음식들에 숨어 있는 나트륨이 전체 섭취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.


✅ 저염 식단, 실천을 위한 5가지 핵심 전략

 

1. ‘짜게’보다 ‘진하게’를 구분하자

 

대부분 ‘짠맛’은 소금 양이 많아서가 아니라 조미료와 감칠맛에 익숙해져서 생긴 것이다.
소금 사용을 줄이되 식초, 후추, 허브, 마늘, 생강 등 향신료로 풍미를 살리면 싱겁지만 맛있는 요리가 가능하다.

2. 국물 섭취 줄이기 = 나트륨 절반 줄이기

국, 찌개를 먹을 때 건더기만 섭취하고 국물은 남기는 습관만으로도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40~50% 줄일 수 있다.

특히 외식을 할때 국물 요리는 절제가 필요하다. 한 숟가락에 200~3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.

 

3. 가공식품의 영양 성분표 읽기 습관화하기

  • 1일 기준치 대비 %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
  • '나트륨 1일 기준치의 20% 초과' 식품은 피하거나 적절히 조절
  • ‘무염’ ‘저염’ ‘나트륨 프리’ 표시가 있더라도 성분표로 재확인해야 정확함

4. 김치·장류는 ‘자연발효’ & ‘저염’ 제품으로 대체하기

  • 일반 김치보다 저염 김치, 백김치가 나트륨 함량이 낮음
  • 된장, 고추장은 집에서 담근 것보다 시판 저염 제품이 함량이 관리된 경우가 많다
  •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산균은 장 건강에도 유익하므로 무조건 피할 게 아니라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관건

5. 나트륨 배출을 돕는 식품과 함께 먹자

  • 칼륨이 풍부한 채소와 과일(바나나, 토마토, 시금치, 감자 등)은 체내 나트륨 배출을 촉진한다
  • 수분 섭취 또한 중요 : 물을 충분히 마셔야 나트륨 농도가 희석되고 배출이 원활해진다

🧠 흔하지만 잘 모르는 저염 실천 팁

  • 간을 볼 때는 식힌 후 맛보기 : 뜨거운 상태에서는 짠맛이 덜 느껴지므로 과하게 간을 할 수 있다
  • 간장은 찍어 먹지 말고 ‘묻혀’ 먹기 : 동일한 맛을 내면서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
  • 양념장은 먹는 순간이 아닌 조리 단계에 배합 : 불필요한 간 첨가 방지

📝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식단 예시 (1일 기준)

 식   사  메                뉴 나트륨 함량 예시
아침   현미밥 + 두부구이 + 저염 김치   약 500mg
점심   닭가슴살 샐러드 + 고구마 + 요구르트   약 600mg
저녁   된장국(국물 적게) + 채소볶음 + 바나나   약 700mg

 

▶ 하루 나트륨 권장량 약 1,800mg 이하로 유지 가능하며, 실천 가능한 구성이다.


💬 마무리 – 짠맛은 습관, 건강은 선택

나트륨은 소리 없이 건강을 갉아먹는 ‘침묵의 살인자’로 불린다.
짠맛은 습관이고, 습관은 바꿀 수 있다.
오늘부터 나트륨 섭취를 의식하며, 작은 변화부터 시작해보자.
성인병 예방의 첫걸음은 식탁 위에 있다.